버림받은 아이들의 처참한 실상을 고스란히 보여준 작품
2018년 개봉된 레바논 영화 "가버나움(Capharnaüm)"은 버림받은 아이들의 참담한 실상을 적나라하고 생생하게 그리고 있습니다. 주인공인 12살 소년 자인과 영화에 등장하는 다른 아이 배우들의 연기가 실감 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이들 비프로 어린 배우들이 보여준 감정 표현력이 매우 출중해 관객들로 하여금 영화 속 상황에 몰입하게 만듭니다. 영화는 자인과 그의 가족들이 처한 열악한 환경부터 보여줍니다. 극심한 가난에 시달리는 자인 가족이 레바논 빈민가에서 갖가지 궂은일을 하며 허덕이는 모습이 펼쳐집니다. 부모가 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아이들을 내팽개치고 방치하는 참담한 현실이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어린 자인과 여러 형제들은 이런 환경에서 하루하루를 힘겹게 버텨내야 했습니다. 영화는 이들이 당면한 극심한 가난 속에서 기본적인 것조차 누리지 못하고 방치되는 모습을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습니다. 어느 날 부모에 대한 원망과 한탄으로 자인은 집을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거리를 방황하며 구걸하는 길거리 생활을 시작하게 되는데, 여기서 또 다른 비슷한 처지의 버림받은 아이 라힘을 만나 함께 지내게 됩니다. 두 아이는 동고동락하며 서로를 의지하고 우정을 쌓아갑니다. 하지만 이들이 처한 상황은 말로 형용하기 어려울 만큼 열악하고 가혹합니다. 최소한의 의식주 시설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온갖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이들은 부모에 의해 버림받은 신세라 어른의 보호나 도움을 기대할 수조차 없습니다.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궂은일을 해서라도 살아가야 하는 처지인 것이죠.
충격적인 반전으로 아동 인권 문제에 대한 경종을 울린 작품
"가버나움(Capharnaüm)"은 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단연 자인이 자신의 존재 이유와 권리를 직접 묻는 대목입니다. 자인은 어느 날 자신이 태어난 것 자체를 원망하며 파격적인 행동을 벌입니다. 바로 법정에 직접 나가 자신의 부모를 고소하는 것이었습니다. 태어나면서부터 버림받고 방치되어온 자신의 처지를 한탄한 자인은 드디어 부모에 대한 울분을 참지 못하고 법의 절차를 밟습니다. 전례 없는 방식이었지만, 그는 이를 통해 자신의 권리와 존재의 의미를 스스로 확인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이 장면은 영화에서 큰 반전이자 전환점이 됩니다. 앞서 버림받은 아이들이 처한 열악하고 참담한 상황을 지켜보았던 관객들에게 충격을 안겨주기 때문입니다. 극한 상황에 내몰린 아이가 스스로 삶의 존엄과 권리를 내세운 모습은 관객들의 가슴을 철렁하게 만듭니다. 동시에 아동 인권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웁니다. 영화는 전반적으로 지나치게 칙칙하고 음산한 영상미를 보여줍니다. 아이들이 처한 비참한 현실과 절망적 상황을 드러내기 위함입니다. 삶의 축축한 현장 그대로를 있는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 과감한 영상 표현을 선택한 것이죠. 하지만 이런 어두운 배경을 빛내는 것이 있었으니, 바로 자인과 라힘 사이의 우정과 인간애입니다. 이 아이들 사이에 느껴지는 정과 연대의식, 서로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보듬어 주는 모습이 영화에 따뜻한 불빛을 밝혀줍니다. 이를 통해 비참한 현실 속에서도 '희망'이 살아 숨 쉬고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아동 인권 문제에 경각심을 가지게 한 사회 고발 영화
"가버나움(Capharnaüm)"은 은 단순한 영화 이상의 의미를 지닌 작품입니다. 이 영화가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안겨준 이유는 무엇보다 현실 고발적인 메시지 때문입니다. 이 작품은 전 세계에 만연한 아동 인권 유린 실태를 가차 없이 고발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아이들이 버림받고, 방치되고, 착취 당하며 비참한 환경에 내몰리고 있다는 사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죠. 영화는 자인과 다른 버림받은 아이들의 시선을 통해 우리가 그동안 외면해 왔던 세상을 바라보게 합니다. 우리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서 일어나는 비극적인 현실을 영화는 드러내고 있습니다. 영화를 보며 우리는 그동안 간과해 왔던 아이들의 처참한 삶의 현장을 직시하게 됩니다. "가버나움(Capharnaüm)"은 은 이를 통해 아동 인권 문제에 대한 반성과 각성을 우리에게 촉구하고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며 스스로의 존재 이유와 삶의 의미를 돌아보게 되는 것은 물론, 우리 사회의 아동 인권 실태에 대해서도 곰곰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이 불편한 진실을 이렇게 적나라하게 고발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우리가 그동안 아동 문제에 대해 소홀했다는 것을 자각시키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얼마나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환기시키기 위함입니다. 결과적으로 "가버나움(Capharnaüm)"은 은 평범한 아이들의 비극적인 현실을 그린 작품이지만, 그 이면에는 강력한 사회 고발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특정 지역이나 계층의 이야기가 아닌,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아동 인권 유린 실태에 대한 경고입니다. 우리는 때때로 영화를 통해 세상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이 영화 역시 그동안 우리가 주시하지 못했던 세계를 발견하게 해 줍니다. 그리고 버림받은 아이들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그들의 인권이 존중받을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는 점을 일깨워줍니다. 이처럼 "가버나움(Capharnaüm)"은 은 단순한 예술 영화를 넘어선 사회 고발적 메시지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비판과 반성의 메시지를 전하며, 우리 사회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아동 문제에 주목하게 합니다.